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중대재해구분
- 안전관리자
- 산업안전기사
- 중대재해
- 절판된 책
- 산업안전
- 혼자 공부할때만 씁니다.
- 산안기
- 위반사업장
- 중대산업재해
- 복 받으실꺼예요.
- 산안법
- 산업재해은폐
- 잘해볼께요..
- 안전계수란?
- 중처법
- 재인쇄라도
- 처음하는 블로그?
- 중대재해차이
- 익숙치 않아
- 비공개라 몰래...
- 사업장공표
- 어디없나요?
- 안전관리
- 오래된 책
- 최상복
- 고용노동부
- #안정성평가 #안전성 #정성적평가 #정량적평가 #안전대책 #재해평가 #5단계 #재평가 #안전 #안전관리 #산업안전 #산업안전관리 #안전관리자 #산업안전기사 #산안기
- 골드 출판사
- 구해줘 저책
Archives
- Today
- Total
검정색87
[산업안전기사] 산업재해 예방조치 의무 위반 사업장 명단 공표 본문
산업재해 "예방조치 의무 위반 사업장의 명단공표" 주체와 목적
1. 누가 공표하는가?
고용노동부에서 공표합니다.
-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산업재해 예방 및 사업장의 안전 강화를 위해 산업재해 예방조치 의무 위반 사업장을 선정하여 명단을 공표합니다.
- 공표된 사업장 목록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나 관련 기관의 공식 자료를 통해 공개됩니다.
2. 왜 공표하는가? (목적)
공표 대상 사업장을 공개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산업재해 예방을 강화: 산업재해 다발 사업장의 안전 관리 강화를 유도
- 사업주의 책임 강화: 사업장 내 안전조치를 소홀히 할 경우 공적 불이익 발생
- 근로자의 알 권리 보장: 위험 사업장 정보를 제공하여 근로자의 안전한 선택을 지원
- 사회적 경각심 제고: 산업안전 문제를 공론화하여 개선 유도
3. 공표 대상 사업장 선정 기준 (재정근거)
- 산업안전보건법 제9조(산업재해 예방조치)
-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및 관련 고시
-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 발생 통계 및 보고 기준
공표 대상 기준 |
|
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공표 대상이 됩니다. |
4. 공표 후 사업장에 미치는 영향
- 해당 사업장은 정부의 특별 관리 대상이 될 수 있음.
- 산업재해 예방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, 행정 처분, 과태료, 작업 중지 명령 등의 조치를 받을 수 있음.
- 기업 이미지 손상으로 인해 거래처 감소, 투자 리스크 증가 등의 경제적 불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.
결론
고용노동부는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하거나 안전조치를 소홀히 한 사업장을 공개(공표) 하여,
안전한 근로환경을 조성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.
'[ ■ 배워가는 지식글 ] > # 산업안전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산업안전기사] 중대재해에 관한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의 차이 (0) | 2025.03.27 |
---|---|
[산업안전기사] 안정성 평가 5단계 (0) | 2025.03.26 |
[산업안전기사] 사다리식 통로와 수직 갱 가설통로 (2) | 2025.03.24 |
안전인증 절연장갑에 안전인증 표시에 따른 등급별 색상 (0) | 2024.05.21 |
혼합가스 폭발성 여부 판정 및 폭발하한계 산정 (0) | 2024.05.14 |